로고

총회114
로그인 회원가입
  • 자유게시판
  • 자유게시판

    CONTACT US 02-6958-8114

    평일 10시 - 18시
    토,일,공휴일 휴무

    자유게시판

    블록체인 및 가상자산 관련 사업 자문및 컨설팅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Coy
    댓글 댓글 0건   조회Hit 3회   작성일Date 25-08-23 17:03

    본문

    안녕하세요, 가상자산 컨설팅 그로스하이입니다!​가상자산 산업에서 오랜 시간 반복되어온 질문이 있습니다.“우리는 언제쯤 제도권 안으로 들어올 수 있을까요?”블록체인 기술을 개발하고 지갑·커스터디·API 같은 서비스를 만들어내도 ‘사행성 업종’이라는 꼬리표 하나 때문에 정책 자금, 벤처 인증, 금융 지원 같은 제도적 혜택은 늘 멀게만 느껴졌습니다.​그런데 이번엔 다릅니다.가상자산 사업자도 벤처기업 인증을 받을 수 있게 됐습니다.7년 만에 제도의 문이 열리고 처음으로 ‘기술 기반 혁신 산업’으로 인정받는 흐름이 시작된 겁니다.​여기에 스테이블코인 제도화 논의까지 더해지며 핀테크·PG사·블록체인 기업 전반에서 새로운 기회가 포착되고 있습니다.​오늘은 이 변화가 갖는 의미와 어떤 기업이 지금 이 타이밍에서 실행 가능한 전략을 설계할 수 있을지 함께 짚어보려 가상자산 컨설팅 합니다.“7년 만에 문이 열렸다” 가상자산 산업, 드디어 벤처 생태계 안으로중소벤처기업부가 최근 ‘벤처기업육성에 관한 특별법 시행령’ 개정안을 발표했습니다. 가상자산 산업이 벤처기업 확인 대상 업종에 명시적으로 포함된 것입니다.​2018년 이후 암호화자산 사업은 유흥주점, 카지노와 함께 벤처 제외 업종으로 분류돼 왔습니다. 이 기준 하나로, 업비트를 운영하는 두나무조차 벤처 인증을 박탈당한 바 있죠. ​하지만 이번에는 다릅니다.블록체인이나 디지털자산 기술 기반 기업이 일정 수준의 기술성 평가를 통과하면 정식으로 벤처기업 인증을 받을 수 있는 길이 열린 것입니다.​단순히 혜택이 늘어난다는 의미는 아닙니다.그동안 '대상조차 아니었던' 가상자산 기업들이 처음으로 정책의 흐름 안에 들어올 수 있게 됐다는 점에서 가상자산 컨설팅 의미 있는 전환점이라 볼 수 있습니다.​세금 감면, 기술보증기금 보증, R&D 과제 우대 같은 실무적 지원도 생기지만, 더 중요한 건 시장의 인식 변화입니다.이제는 기술력을 입증해도 외곽에 머물던 기업들이 제도권 안에서 성장 전략을 설계할 수 있는 출발점에 서게 됐습니다.스테이블코인 제도화가 VC를 움직이는 이유최근 원화 기반 스테이블코인 제도화가 급물살을 타면서 투자 시장에도 확실한 변화의 조짐이 감지되고 있습니다.NHN KCP, 토스, 카카오페이 등 간편결제 기업들은 앞다퉈 스테이블코인 상표권 출원에 나섰고, 은행계 VC는 PG사(전자지급결제대행사)를 중심으로 투자 심사를 강화하고 있습니다.​한편, 금융당국은 핀테크 출자 제한을 5%에서 15%로 완화했고 혁신펀드의 주요 투자 제한도 해제하며 흐름을 가상자산 컨설팅 뒷받침 중입니다. 정책기관도 스테이블코인 기반 결제 실증사업을 통해 시장 테스트를 이어가고 있죠.​이 일련의 흐름이 말해주는 건 분명합니다.결제망을 가진 PG사와 기술 기반 블록체인 기업의 결합 가능성.PG사는 라이선스를 보유한, 제도권 내 결제 사업자입니다.이들이 커스터디, KYC, 스테이블코인 결제 구조를 기술적으로 내재화하게 되면 디지털 결제 시스템의 핵심 허브로 떠오를 수 있습니다. 지금 VC들이 PG사를 주목하는 것도 이 지점 때문입니다.규제 안에서 확장 가능한 구조가 처음으로 열리고 있기 때문입니다.​기회는 열렸지만, 기업이 마주한 세 가지 과제가상자산 기업에 벤처기업 인증이 가능해졌다는 소식은 반가운 변화입니다.​하지만 그 변화가 모든 기업에게 ‘자동 자격’으로 주어지는 건 아닙니다.실제 현장에서는 가상자산 컨설팅 제도와 현실 사이에 놓인 구조적 과제들이 분명히 존재합니다.​그중 가장 많이 반복되는 고민 세 가지는 아래와 같습니다.​1. "우린 거래소가 아닌데도, VASP 하나로 다 묶입니다."현재 특금법은 거래소, 지갑 개발사, 커스터디, 인프라 기업 등 다양한 형태의 가상자산 사업자를 모두 VASP로 통합 규정하고 있습니다.​문제는 각 기업의 리스크 구조, 수익모델, 기술 형태가 완전히 다르다는 점입니다.단일 라이선스 체계는 이러한 차이를 반영하지 못하고 일부 기업에겐 벤처 인증을 받기 위한 불리한 조건이 될 수 있습니다.​2. “기술성 평가 기준이 너무 추상적입니다.”벤처 인증을 받기 위해선 일정 수준의 ‘기술성’을 입증해야 합니다.하지만 평가 기준은 아직까지 명확하게 정리되어 있지 가상자산 컨설팅 않습니다.​API 기반 기술도 평가 대상이 되는가?오픈소스나 알고리즘 개발 기여는 어떻게 계량화되는가?플랫폼 구조와 기술 스택은 어느 수준까지 제시해야 하는가?​이처럼 정량화된 가이드는 부족하고, 평가 담당자의 해석에 따라 결과가 달라질 여지도 큽니다.결국, 기업이 먼저 구조적으로 정리하고 설계해야만 인정받을 수 있는 가능성이 높아집니다.​3. “제도는 바뀌었는데, 금융기관은 그대로예요.”가장 현실적인 장벽은 금융 연결입니다.벤처 인증을 받았다 해도, 그 다음 단계에서 만나는 은행·보증기관·카드사 등은 여전히 가상자산 기업을 ‘고위험군’으로 분류하고 있습니다.​법인 명의 가상계좌는 여전히 개설이 어렵고, 신용카드 결제는 대부분 거절되고, 기술보증기금이나 신용보증기금은 모호한 입장을 유지합니다.​즉, 제도 변화가 실제 자금 흐름이나 금융 인프라와 연결되지 않는다면, 그 가상자산 컨설팅 인증은 여전히 ‘형식적 자격’에 그칠 수밖에 없습니다.​이러한 현실은 우리에게 하나의 메시지를 줍니다.제도는 시작일 뿐, 그 안에서 ‘인정받을 수 있는 구조’를 설계하는 일이 남아 있다는 것.다음 단계는 결국 실행 전략의 문제입니다.벤처 인증과 스테이블코인 제도화, 기회를 현실로 바꾸려면?가상자산 기업에게도 벤처 인증이 열렸다는 건 분명 기회이지만, 그 자격을 갖추기 위해서는 단순히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는 사실만으로는 부족합니다.​우리가 가진 기술이 정부 기준에 부합할까?API, 오픈소스, 인프라 기술도 평가 대상이 될 수 있을까?현재 사업 구조로 벤처 인증에 도전해볼 수 있을까?​이 질문에 답하려면 기술을 ‘보여주는 것’보다, 제도의 관점에서 설득력 있게 설명할 수 있는 구조화가 가상자산 컨설팅 먼저입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