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총회114
로그인 회원가입
  • 자유게시판
  • 자유게시판

    CONTACT US 02-6958-8114

    평일 10시 - 18시
    토,일,공휴일 휴무

    자유게시판

    딥시크 관련주 및 엔비디아 주가 역대급 폭락 이유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Madison
    댓글 댓글 0건   조회Hit 3회   작성일Date 25-05-22 12:59

    본문

    ​2024년 딥시크 주식 시장을 이끌었던 대표적인 미국 빅테크 기업을 묶어서 '매그니피센트(Maginificent) 7'또는 'M7'이라고 부릅니다. 해당 용어가 한참 주목받던 시기에 관련 포스팅을 한 적이 있는데요. ​안녕하세요. 경제적 자유를 얻고 세미 리타이어(Semi-Retire) 중인 푸른염소입니다. 대표적인 미국 빅테...​M7은 전 세계 AI 산업을 이끌고 있는 마이크로소프트, 메타, 아마존, 알파벳, 애플, 엔비디아, 테슬라를 말합니다. 서부영화 '황야의 7인'의 영문 제목을 따서 만든 용어라는 점이 흥미로웠는데, 최근 중국 딥시크의 영향으로 중국판 M7이 뜨고 있다고 해서 어떤 기업들이 포함되어 있는지 정리해 보려고 합니다. ​​​딥시크(DeepSeek)란?인공지능이나 경제 분야에 딥시크 조금이라도 관심이 있는 분들이라면 딥시크에 대해서 모두 들어봤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딥시크의 특징과 시장에 미친 영향에 대해서는 간략하게만 정리해 보겠습니다. ​딥시크(DeepSeek)는 미국의 ChatGPT 수준의 성능을 가진 중국 토종 인공지능 모델입니다. ​딥시크가 시장에 큰 충격을 준 이유는 미국 빅테크 회사의 임원 한 명의 연봉도 안 되는 558만 달러의 훈련 비용으로 고성능의 효율을 보여줬기 때문입니다. 그동안 인공지능 시장에서 미국을 절대로 따라잡을 수 없다고 모든 사람들이 생각한 이유는, 인공지능이 많은 자본을 투입해서 훈련을 시킬수록 성능이 좋아지기 때문에 물량 경쟁에서 딥시크 미국을 절대로 이길 수 없다는 패배 의식 때문이었습니다. 그러나 중국 딥시크의 출현은 이러한 생각을 송두리째 바꿔놓게 되었습니다. ​2023년 7월에 설립되어 1년 반 만에 세계 최고 수준의 인공지능 모델을 출시했다는 것도 쇼크였지만 연구원 수가 139명에 불과하고 이들 모두 미국에서 공부한 적이 없는 토종 중국 엔지이어라는 점에서도 세상을 놀라게 했습니다. ​​​중국판 '매그니피센트 7'전 세계 AI 산업을 주름잡던 미국의 M7이 잠시 주춤한 사이에 중국 AI 기업에 대한 기대가 점점 커지고 있습니다. 이 중 가장 주목받는 후보 7개 기업을 살펴보겠습니다. 딥시크 ​​​M1. 텐센트 ​텐센트는 1988년 설립되었고, 중국의 대표적인 SNS인 위챗을 운영하고 있는 회사입니다. 시가총액은 4조 7,868억 홍콩달러(896조 2,722억 원)으로 홍콩거래소 기준 1위 기업입니다. SNS, 게임 부문에서 매출이 빠르게 늘고 있으며, 딥시크 모델을 활용하여 핀테크/비즈니스, SNS 등으로 사업을 확장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M2. 알리바바 ​알리바바는 중국의 이커머스 및 클라우드 서비스 대표 기업입니다. 미국으로 치면 아마존과 같은 사업 방향의 회사라고 할 수 있습니다.시가총액은 2조 5,813억 홍콩달러(483조 2,744억 원)으로 홍콩거래소 기준 텐센트 다음으로 높은 기업입니다. 알리바바는 딥시크의 빠른 적용은 물론, 딥시크 최근 자체 추론 모델을 선보이면서 중국 AI 생태계 주도권을 잡기 위한 시도를 꾸준히 하고 있습니다. ​​​M3. 레노버 ​레노버는 2011년 설립된 기업입니다. 노트북, 데스크탑과 같은 PC를 주력으로 하고 있으나, 클라우드, AI 애플리케이션, 로봇 산업ㄴ 등 신사업 또한 발전 중입니다. 최근에는 딥시크 AI 기술을 자사 제품에 도입하기로 했습니다. ​​​M4. 메이퇀(Meituan) ​메이퇀은 중국판 배달의 민족이라고 할 수 있는 배달앱 기업입니다. 호텔 예약 플랫폼도 운영 중이며, 회원제를 통해 후속 제품 및 서비스 교차 판매를 하며 중소도시에도 침투해 사업을 전개해 나감으로써 딥시크 견조한 성장을 지속하고 있습니다. ​​​ M5. SMIC ​SMIC는 중국 유일의 선단 공정 파운드리 업체입니다. 딥시크 공개 이후 대중국 반도체 수출 제재가 강화될 것으로 보며 중국의 첨단 반도체 내재화가 가속화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중국 내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는 반도체 수요를 SMIC가 모두 흡수할 것으로 기대됩니다.​​​M6. 샤오미(Xiaomi) ​샤오미는 자체 OS를 중심으로 스마트폰 점유율을 확대하고 있으며, 신사업 분야인 전기차도 빠르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딥시크가 부각된 이후 중국의 주요 테크 기업들 중에서도 샤오미는 스마트폰, 가전, 전기차 등 모든 영역에서 딥시크 두드러지는 성과를 보이고 있습니다. ​​​M7. BYD ​BYD는 2024년 세계 전기차 시장 점유율 1위를 차지한 중국의 완성차 업체입니다. 중저가 모델을 중심으로 매출을 증가시켜 왔지만, 최근 딥시크 기술을 활용하겠다는 발표를 하고, 최첨단 자율 주행 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ADAS(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 첨단 운전자 지원 시스템) 기능을 탑재한 프리미엄 브랜드 라인을 강화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습니다. ​미국 M7 기업에 이어 주목받고 있는 중국판 M7에 대해서 미래에셋투자와연금센터의 매거진 기사를 인용하여 정리해 봤습니다. ​AI 기술이 급속하게 발전하고 있지만, 특정 기술이 캐즘(Chasm) 없이 딥시크 시장에 정착하기 위해서는 기술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요 시장이 매우 중요합니다. 이런 측면에서 중국은 플랫폼 기업이 성공하기에 매우 유리한 조건을 가진 국가입니다. 5억 명 이상의 가입자를 가진 플랫폼 기업이 8개가 있고, 이 중 1억 8천만 명 이상의 가입자를 가진 기업도 4개나 되기 때문에 플랫폼에 AI 기술을 적용하여 자연스럽게 고객에게 노출시킬 수 있습니다. ​이러한 유리한 조건을 갖춘 중국이, 미국 중심의 AI 산업에서 향후 어떤 영향력을 끼칠지 관심을 가져봐야 할 것 같습니다. ​​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