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럭시 S24 울트라 게임 성능 및 장점 가격
페이지 정보

본문
갤럭시 울트라게임 S22 울트라를 사용한지도벌써 2주차입니다.폰 바꾸고 제일 많이하는것 세가지를 뽑는다면웹서핑, 유튜브, 게임인데요폰아레나에서 평가한 S22 울트라 장단점제게 S22 기본 모델이나 플러스를 놔두고굳이 울트라를 구매한 이유를 묻는다면스펙 때문이라고 말씀드리고싶습니다.물론 무게도 중요하긴하지만, 스펙을 찾아보니울트라에만 LTPO 최신 아몰레드 디스플레이가적용되고 내부 쿨링 구조도 플러스보다 울트라가더 좋다고하더라구요오늘은 갤럭시S22 제돈제산 리뷰 두번째로제가했던 (주로하는) 게임 테스트 결과와 함께직접 측정한 벤치마크 점수들을 보여드릴까합니다.갤럭시S22 울트라 주요 벤치마크 점수 측정기QHD 해상도 설정, 절전모드X, 실내에서 측정※ 저는 실구매자이며, 100% 제돈제산이고따라서 주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테스트 환경 : 겨울철 실내, QHD 해상도,절전모드 X, 기기가 차가운 상태에서만 측정,케이스 벗기고 측정긱벤치5 점수 (2월 기준 최신버전)싱글코어 점수는 1200점대 초반,멀티코어 점수는 약 3500점정도 나옵니다.수율 좋은 울트라게임 기기는3500점대도 나온다는데제 기기는 아무리 측정해도 3500점대까지는안나오더라구요실제로도 스냅드래곤888보다 10%정도동작속도가 빨라졌으니 딱 예상대로Cortex-X2 최신 아키텍쳐나 4나노 공정은의외로 CPU 점수에 별다른 영향이 없습니다.CPU 쓰로틀링 테스트 : 차갑게하면 88%, 일반 80%쿨러가 있으면 게임이 잘 돌아갈까?그건 또 아닌게, GOS가 최대 성능 자체를막아놔서 온도 낮추는건 크게 중요치않습니다.이게 무슨말이냐하면 벤치마크 돌릴때는기기에서 낼수있는 최대 성능이 발휘되고,정작 그 성능을 활용하는 게임용도로는제한이 걸려있다는 의미입니다.벤치마크 돌려도 50도까지는 안올라가던데...40도 중반까지 올라가도 괜찮으니GOS 좀 완화시켜주면 좋겠어요다음은 3DMARK 점수들입니다.3DMARK 와일드라이프 테스트같은경우S22 울트라의 디스플레이 해상도와 유사한QHD 해상도로 진행되며, 와일드라이프익스트림쪽은 4K 해상도를 사용한다고합니다.와일드라이프와 슬링샷 익스트림 점수Slingshot Extreme은 점수 초과로측정 불가능발열은 따끈해지는 수준이었고,CPU 클럭도 2.1Ghz까지만 올라갔습니다.목욕탕 물온도정도로만 따뜻함노트10+때는 이 벤치로도 점수 비교 울트라게임 가능했는데요,스냅드래곤8 Gen1이 탑재된 S22 울트라같은경우최대치를 초과해서 점수가 표시되지않았습니다.단순 벤치 점수만 놓고보면이미 스냅드래곤865를 압도하는 수준실 성능은 여전히 갈길이 멀어보이나가성비를 배제한다면 현 시점에서 굳이865를 선택하실 필요는 없습니다.요즘 논란이 많기 때문에 해외 커뮤니티까지시끄러워지다보면 S21때와 마찬가지로성능 개선 업데이트가 이뤄지지않을까합니다.발열과 쓰로틀링을 측정하는데 사용되는스트레스 테스트같은경우 와일드라이프익스트림 기준 최대 점수 2500점대,최소점수 1500점대 중반으로 측정되었습니다.쓰로틀링은 60%대 초반,온도는 약 40도까지 올라갑니다.Extreme 벤치마크같은경우 실제로는사용할 일이 없는 4K 해상도 기반이긴한데요GOS의 극단적인 성능 억제를 생각하면 오히려이쪽 점수가 실 성능에 가깝지않을까 생각합니다.Wild Life 스트레스 테스트 점수Extreme보다 더한 쓰로틀링,그래도 S21 울트라보단 높은점수결론 : 벤치 점수상으로는 S21 울트라를압도하며, 낮은 온도가 인상적이었습니다.S22 울트라가 벤치마크 관련해서 유일하게아이폰13 프로 맥스를 이기는게 있는데요,그게 바로 울트라게임 발열 (낮은 온도)입니다.갤럭시 S21 시리즈의 발열 논란은 사실상해결했다고 판단되며, 성능 저하 문제는아직도 해결할 의지가 없는것으로 판단됩니다.낮은 온도로 미루어 짐작할때, S22 울트라는더 좋은 성능을 낼수있음에도 불구하고발열이랑 배터리 소모를 줄이기위해최대 성능을 억제해놓은것으로 보입니다.얼마전에 GOS 관련해서 삼성전자 직원분인터뷰한 유튜브 영상을 봤는데요,안전에 대해선 타협점이 없다할말을 잃었네요그 논리대로면 애플은 저온화상따윈관심도 없는 악덕 기업이고, 샤오미같은중국 스마트폰 제조사들은 안전따윈안중에도 없겠군요 (근데 왜 사고가 안나지?)갤럭시S22 울트라 게임 테스트GPU 클럭을 반토막내버린 GOS오픈직후부터 열심히했던 원신입니다.원신은 스마트폰 오픈월드 게임시대를 본격화했고,동시에 보급형 스마트폰과 플래그십의 성능 격차를직접적으로 체감할수있는 몇안되는고사양 스마트폰 게임중 하나라고 생각합니다.PC로 따지면 싸이버펑크처럼 시대를 초월한사양의 게임이라고 할 수 있는데요, 아직까지도원신 60프레임 풀옵션을 쾌적하게 돌릴수있는스마트폰이 존재하지않는다는게 놀라울 울트라게임 따름입니다.그나마 풀옵이 가능하다는 아이폰13 프로맥스조차도발열 때문에 풀옵을 말릴정도이나즈마가 빨리 안나오니 할건 없고,노가다는 지겹고 그래서 접었는데요즘 할 게임이 없어서 다시 시작했어요이나즈마가 생겼던데 또 필드 돌아다니면서몬스터 잡으려니 벌써부터 피곤해지는군요60프레임 설정해도 60프레임 구경은 불가60프레임 찍는걸 본적이 없다옵션을 낮춰봤습니다. 안티앨리어싱 끄고,렌더링이나 품질도 중간으로 내렸어요Bloom 효과를 끄면 2~3프레임정도확보가 가능하지만, 시각적인 차이가 커서차마 끌수가 없네요 (끄면 색이 연해짐)중옵정도로 옵션을 낮춰도, 해상도를풀HD로 낮춰봤자 CPU랑 GPU 점유율만내려갈뿐 40프레임대에 머무르는건 똑같습니다.사실 스냅드래곤8 Gen1 들어간중국 스마트폰들도 60프레임까지안올라가는해요, 근데 유튜브 보니까발열 심한 중국폰들은 사냥안하면50프레임대도 찍더라구요스냅8 Gen1 아이폰13급 아니었음?풀로드인데 왜 프레임 이거밖에 안나옴?갤럭시S22 울트라가 높은 성능에도 불구하고프레임이 낮은 이유는 GPU 클럭이 낮기 때문입니다.정확하게 말하면 GOS 때문"안전에 대해서는타협점이 울트라게임 없다는게 삼성전자의 오피셜입니다.비경 돌려봤는데요, GPU 클럭이220~425Mhz 사이를 왔다갔다하더군요CPU 클럭도 2Ghz 넘기는걸 보기가 힘듭니다.참고로 스냅드래곤8 Gen1의GPU 클럭은 최대 818Mhz내부 온도는 4~50도선에서 유지됨, 체감 온도는 40도내외결론 : GOS 때문에 클럭이 절반정도까지만올라가고, 이걸 풀로드라고 가정하고있으니당연히 프레임이 잘나올리가 없습니다.발열은 적습니다. 저온화상 걱정X어차피 60프레임 안나오니까30프레임 설정으로 즐기시는걸 추천똑같이 버벅이면서 발열까지 심했던S21 울트라에 비하면 장족의 발전이기는합니다만,같은 사양으로 40~50프레임을 뽑아내는중국 스냅드래곤8 Gen1 스마트폰들에 비하면너무나도 초라한 퍼포먼스입니다.정 안전이 걱정된다면 삼성전자가 갤럭시 전용쿨러 액세서리를 출시하고, 이걸 장착하면GOS를 풀어주는것도 좋지않을까요?이미 ASUS 로그폰이라는 사례가 있습니다.액세서리 장사한다는 비난을 들을지언정GOS를 피할 방법조차없는것보단 낫습니다.보조배터리 기능도 넣어주면 잘 팔릴듯한데요그게 아니면 게임부스터 실험실 옵션으로GOS 완화하는 고성능 모드라도 넣어주세요실험실이니까 책임안진다는 문구 넣으면되잖아요블루아카이브 울트라게임 풀옵 (60프레임)카운터사이드랑 라스트오리진을 접고최근 즐기고있는 게임입니다.노트10+에서도 쾌적하게 돌아갔던 게임이라혹시나해서 GPU Watch를 켜고 돌려봤습니다.당연하게도 50프레임대를 안정적으로유지하면서 쾌적하게, 발열없이 돌아갑니다.GPU 클럭같은경우 100대 초반~350Mhz 사이로조절되는데, 원신처럼 풀로드가 걸리지는않습니다.블루아카이브는 옵션 신경안쓰고하시면되요A52S에서도 잘 돌아가는 게임입니다.마지막은 예전에 잠깐했었던 붕괴3G7 쓰던 시절에했던 게임인데, 이것도당시 기준으로는 콘솔급으로 그래픽 괜찮았죠플스3정도 되지않나싶습니다.백합물이고 단조로워서제 취향에는 안맞았던 게임권장옵션은 풀옵이 아니지만,무시하고 모든 옵션 최대로 올리시면됩니다.G7 쓸때도 렉없이했던 게임이거든요4~50프레임대 후반을 유지하며발열 없이 매우 쾌적하게 돌아감GPU 클럭은 일시적으로 450Mhz를찍었지만, 캡쳐가 어려울정도로 찰나의순간이고 실제로는 1~300대에서 돌아갑니다.결론 : GOS는 게임에 관계없이 최대 클럭을절반정도로 제한해놓는다. (500대 찍는걸 못봄)갤럭시S21 울트라 시절의 발열은 더이상걱정하지않아도된다, 게이밍 퍼포먼스는여전히 갈 길이 멀다.팁 : 이제 프레임 부스터를 끌수있다.이걸 다른말로는 울트라게임 프레임 보간이라고하죠?이게 한마디로 고주사율을 지원하지않는 게임이나프레임 드랍이 발생하는 상황에서도 소프트웨어로프레임을 높여주는, 프리싱크 비스무리한 기능인데요PC의 그것과 비교하면 완성도가 너무 부족합니다.사실 제대로 작동하는지조차 의문이에요어쩐지 원신에서 모션블러 껐는데도 어지럽다했어요그냥 끄고 사용합니다. 저는 그런거 안믿어요프레임 보간같은건 영상볼때나 좋지 게임에서는한마디로 디스플레이 반응속도를 떨어뜨리는기능이라 비추입니다. AI 너무 좋아하지마세요그나마 2D 게임에서는 괜찮을지도?3월 4일 내용추가 : 삼성전자의 GOS 개선방안 발표댓글로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검색해봤더니 실험실에 성능 우선 모드를추가해준다는 삼성측의 공지가 있었습니다.제 생각에도 선택권을 주는게 최선인것 같아요GOS 자체를 폐지하게되면 업데이트이후 배터리가너무 빨리 닳는다는 새로운 논란이 생기겠죠실험실에 들어가서 성능 우선 모드를 설정하는유저들은 배터리 소모나 발열보다도 성능이제대로 나오는걸 원할 가능성이 높은만큼반응이 매우 좋을것으로 기대하고있습니다.과연 성능 우선 모드가 효과가 울트라게임 있는지는일단 써보고 4월에 후기로 말씀드릴게요!
- 이전글성지모아 부산 휴대폰 성지 시세표 좌표 25.05.21
- 다음글비아그라 실데나필 【https://va111.top】 리퀴드섹스 필름형 씨알리스 구매 25.05.21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